호칭, 촌수 마스터 하기
안녕하세요.
이번에는 촌수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.
한번 정확히 알고 나면 어렵지 않아요.
시댁 가족에 대한 호칭
① 아버님, 어머님 : 남편의 부모를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
② 아주버님 : 남편의 형을 부르거나 가족 간에 말할 때
③ 시숙 : 남편의 형을 남에게 말할 때
④ 형님 : 남편의 형수나 누님을 부를 때
⑤ 도련님 : 남편의 장가가지 않은 남동생을 부를 때
⑥ 서방님 : 남편의 장가를 간 남동생을 부를 때
⑦ 시동생 : 다른 사람에게 남편의 동생을 부를 때
⑧ 동서, 자네 : 시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
⑨ 작은아씨 : 시집가지 않은 손아래 시누이를 부를 때와 가족 간에 말할 때
⑩ 서방 댁 : 시집을 간 손아래 시누이를 부를 때와 가족 간에 말할 때 (예 – 김서방 댁, 이서방 댁 등)
⑪ 시누이 : 남편의 자매를 남에게 말할 때
⑫ 서방님 : 시누이의 남편을 부를 때 (예 – 김서방님, 이서방님 등)
친척간의 호칭
- 똑같은 사람도 윗사람이나 남에게 상대를 소개할 때와 자신이 상대방을
직접 부를 때의 호칭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예를 들면 남편의 동생 중 결혼하지 않은 분을 부를 때, 자신은 ‘ 도련님’이라고
부르는 것이 맞지만, 윗사람이나 남에게는 ‘ 시동생’이라고 소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.
사돈에 대한 호칭
① 장인어른, 장모님 : 아내의 부모를 부를 때
② 빙장, 빙모 : 아내의 부모를 남에게 말할 때
③ 사장 어른 : 윗세대 사돈 남녀를 부를 때
④ 사돈 : 같은 세대의 동성끼리의 사돈으로서 연령이 10 년 이내 연상까지를 말함
⑤ 사돈어른 : 시어머니가 친정어머니를 말할 때 자기보다 10 년 이상일 경우에 말함
⑥ 사돈 양반 : 사돈관계의 아랫 세대를 부를 때
(예 : 친정어머니가 사위의 여동생을 부를 때, 시어머니가 며느리의 언니를 부를 때 등)
촌수 (寸數)
1) 촌수(寸數)와 계보(系譜) - 상대와 자기와의 관계를 설명할 때는 친척 관계와 촌수 계보로 말한다.
2) 촌수를 따지는 방법
(1) 공동 조상으로부터 나와 상대방의 세대 수를 합한다.
(2) 고모와 나의 촌수 : 공동 조상 할아버지 와 나는 2 대 + 할아버지와 고모는 1 대 = 3 촌 1 촌 부모님
2 촌 조부모님, 외조부모님, 친 형제자매 3 촌 큰(작은 ), 아버지, 고모(부), 외숙부(모), 이모(부),
친조카 4 촌 종형제, 고종 형제, 외종형제 이종형제
3) 친척의 호칭
(1) 인척(姻戚): 혼인을 해서 척분을 갖게 된 사람, 즉 남자측은 여자의 친정 가족, 여자측은 시댁 가족을 말한다.
(2) 외척(外戚): 직계존속 남자의 자매(고모, 대고모), 자신의 자매(누이) 또는 딸이나 손녀가 시집을 가서 그
배우자와 낳은 자손, 즉 외손(외손)을 말한다.
(3) 내척(內戚): 이모, 외삼촌, 외가의 친척을 말함
온라인강의 지식캠퍼스를 참고해서 작성했습니다.